미국의 달 탐사 프로젝트의 첫 단계로 달 궤도를 돌아온 무인 우주선 '오리온' 이 지구로 귀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도 민간 기업이 독자 개발한 첫 번째 달 착륙선을 우주로 쏘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뉴스룸을 연결합니다. 이승훈 기자! <br /> <br />미국의 무인 우주선 '오리온'이 지구로 돌아온 건 정확히 얼마 만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16일에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우주로 날아갔으니까. 25일 만의 귀환입니다. <br /> <br />오리온은 시속 2만5천 마일, 그러니까 음속의 30배가 넘는 시속 약 4만㎞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했고요. <br /> <br />그 과정에서 나온 태양의 절반 가까운 무시무시한 온도를 견뎌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낙하산을 펴고 멕시코 앞바다에 도착했는데요. <br /> <br />아르테미스1호 프로젝트의 목적이 달에 사람을 보내는 데 있던 만큼 <br /> <br />이번 우주선의 안전한 '대기권 진입'은 가장 중요한 임무이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우주선에 인체와 비슷한 물질로 만든 마네킹을 태운 거였고요. <br /> <br />정리해 드리면 미국은 '아폴로' 계획 이후 반세기만의 인류 달 복귀 프로젝트인 '아르테미스'의 첫 번째 임무를 완료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제 첫 단계를 마쳤다고 하셨는데요. <br /> <br />앞으로 유인 우주선의 달 탐사 일정은 어떻게 됩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첫 임무에서 우주선 오리온은 달 표면 130㎞ 바깥까지 접근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유인 우주선으로는 가장 진 43만2천㎞를 날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NASA는 이번 성과를 토대로 이제 아르테미스2를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핵심은 내후년에 '진짜 사람을 태운 우주선'을 달의 궤도에 접근시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게 순조롭게 마무리되면 그다음 해 인류 최초의 여성, 그리고 첫 유색인종 우주비행사를 달 남극에 착륙시키는 아르테미스3 임무에 착수합니다. <br /> <br />NASA는 이런 과정을 통해 달에 우주 비행사가 사는 기지를 만들고 <br /> <br />결국에는 화성까지 유인 탐사 우주선을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일본도 일본의 민간 기업이 독자 개발한 첫 번째 달 착륙선을 우주로 발사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부분 일본의 힘으로 했지만, 발사 로켓과 장소만은 미국 것을 빌렸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기업 '아이스페이스'가 만든 달 착륙선이 <br /> <br />미국 '스페이스X'사의 로켓에 실려서 플로리다 주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달 착륙선은 5달 뒤인 내년 4월, 달 표면에 착륙을 시도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 계획이 성공하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훈 (shoonyi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121209260877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